각종 부업 및 이벤트 정리/블로그

박살난 CPC에 대한 고찰

Itsum 2023. 11. 14. 20:38

박살난 CPC에 대한 원인을 한번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블로그 고수도 아니고, 이제 11개월 차 된 블로그 초보입니다. 이 글을 검색하시는 분들과 같이 블로그로 돈을 벌기 위해 매일 공부하며 분석하고 있습니다.

 

박살 난 CPC에 대한 고찰

최근 CPC가 끝을 모르고 떨어지고 있습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만, 초보라서 그런지 해결책을 아직 못 찾고 있습니다. 

 

역시 블로그는 짬밥이 있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경험이 많은 고수라면, 빠르게 원인을 찾아 대처를 할 것 같지만, 초보라 글 쓰는 것 밖에 할 수 있는 것이 없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CPC가 박살 난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해결책을 한번 찾아볼까 합니다. 

계속되는 시행착오와 분석이 있어야 한 단계 더 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름 분석한 경과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 글을 못써서

모든 원인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타인을 탓할 필요도 없습니다. 독자들이 만족할 만한 글, 흥미를 유발할 만큼의 글을 작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블로그를 개설하고 글의 퀄리티보다는 방문자 유치를 위한 글을 많이 작성하였습니다. 짧은 글도 많으며, 이미 타 블로그를 통해 충분히 접할 수 있는 글도 많이 작성하였습니다.

 

AI을 통하여 글을 작성한 것은 아니지만, 글의 발행량을 늘리기 위한 글이 많았습니다. 글 자체가 단순 정보성 글이다 보니 체류시간이 낮습니다. 필요한 정보만 얻어가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글자체가 단순정보성글이다 보니 글에 재미가 없습니다. 끝가지 읽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지요. 

결국, 필요한 내용만 확인하고 빠르게 나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당연히 클릭은 일어나지 않고요. 

 

클릭을 해야 할 이유도 없지만, 클릭이 일어나더라도 실수에 의한 클릭이 많았던 것이지요. 결국 무효클릭으로 잡히는 경우가 많아졌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2. 카카오 자체 광고 

카카오 자체 광고 이후 다들 수익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저도 수익은 당연히 떨어졌는데요. 문제가 하나 더 있습니다. 

예전에 비해 무효클릭 카운팅이 심할 정도로 많아진 것 같습니다. 

 

클릭이 일어나면 처음에는 수익으로 잡혔다가 약 5~10분 지나면 수익이 차감되었습니다. 무효클릭이었습니다. 

 

무효클릭 카운팅은 카카오 자체광고에 의한 애드센스 게제제한 이후로 더욱 엄격 해 진 것 같은 느낌입니다.

CPC가 높은 클릭에서는 특히 많이 발생했습니다. 

 

거의 일방문자수가 1,000명 정도 나오는 블로그인데, 클릭수가 0~2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일방 300명 정도에서 4~5 클릭정도는 실제 클릭으로 인정을 해 주었습니다. 

 

클릭수가 저조한 원인은 1번에서 이야기한 글을 못써서 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카카오 자체 광고 전후로 하여 무효클릭 카운팅이 심할 정도로 많아졌습니다. 

3. 품앗이

품앗이 역시 최근에 CPC를 낮추는데, 한 몫한 것 같습니다. 저는 품앗이를 하지 않지만, 최근 품앗이 유도하는 댓글이 많이 달립니다.

 

글을 읽고 공감과 댓글을 다는 것보다 본인 블로그 홍보를 위해 일단 공감 댓글부터 하고 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광고 클릭을 해주면서 수익을 얻고자 하는 방법도 많이들 사용합니다.

 

서로에게 정말 도움이 되게 품앗이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거의 대부분은 본인 블로그 홍보에 바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본인 블로그에 글 몇 개 적어 놓고 거의 외부 유입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함이 목적인 것 같습니다..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홍보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냥 공감 댓글부터 달고 봅니다. 블로그도 장기적으로 운영할 생각도 아닌 것 같고 짧은 시간 내에 그냥 수익을 얻고자 하는 목적인 듯합니다. 

 

저는 거의 차단하고 신고하고 있지만, 그래도 계속해서 댓글을 답니다. 이렇게 빠르게 댓글을 다는 것을 보면, 글을 전혀 안 읽는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구독 누르시고 댓글 단 사람 중에 현재 활동하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결국에는 단발성 수익을 쫒다가 스스로 지쳐서 떠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4. 본인의 글을 많이 봐서

아직 초보자 이기 때문에 분석을 하고자 제 글을 많이 보는 편인데요. 사실 광고 배치를 많이 보았습니다. 광고 배치 위주로 보다 보니, 제 스스로 체류시간을 깎아 먹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차피 제가 적은 글이기 때문에 내용은 거의 다 압니다. 광고 배치 위주로 글을 살피다 보면 제 스스로 빠르게 확인하고 나가는 경향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커뮤니티를 보면 되도록 이면 광고를 확인하기 위해 본인글을 확인하지 마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현재 내린 결론은 "결국엔 체류시간이 높아야 한다"입니다.

위에 언급한 사항 전부 독자들의 체류시간을 감소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글을 잘 작성하지 못하면, 결국 독자들은 만족하지 못하고 이탈해 버립니다. 체류시간이 내려가게 되지요.

 

카카오 자체광고 역시 체류시간을 낮추는데 한몫한 것 같습니다. 저는 구글 자체광고 이외에 글내부에도 광고를 삽입하고 있었는데요. 카카오 자체광고로 인해 광고배치가 상당히 언발란스하게 되었습니다.

 

상단에 너무 많은 광고 배치로 인하여, 독자들이 글을 읽기 전에 그냥 나가게 되어 버렸지요. 이 역시 체류시간을 내리는데 큰 역할을 한 것 같습니다. 

 

앞서 이야기 한 바와 같이 품앗이하시는 분들은 글을 읽지 않고, 홍보에만 목적을 둔분들이 많습니다.  

 

결국, 낮아진 체류시간이 CPC를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체류시간이 어느 정도 된다면 CPC단가가 높은 클릭이 무효클릭으로 인정이 안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합니다. 체류시간이 낮기 때문에 구글에서 클릭으로 인정해 줄 가치가 없다고 판단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이상, 낮아진 CPC에 대하여, 이런저런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공유해 봅니다.

 

블로그에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본인이 지향하는 블로그 특성에 맞춰 본인 스스로 터득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