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부업 및 이벤트 정리/블로그

네이버 지식스니펫 노출 후기

Itsum 2023. 3. 26. 00:04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네이버 지식스니펫에 제 글이 노출되어 후기를 남겨 봅니다.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네이버 유입은 거의 0였는데, 갑자기 네이버 유입이 되어 어떠한 글인지 한번 찾아보았는데 유입된 글이 지식스니펫에 노출되었네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글이 아니기 때문에 하루에 거의 1~2명 정도 검색 유입이 발생하네요. 

 

많은 방문자 유입은 아니지만, 지닉스닛펫이란 곳에 처음 블로그의 글이 올라가게 되니 신기하기도 하고 의욕도 올라가네요.

 


 

네이버 지식스니펫?

네이버 지식 스니펫
네이버 지식 스니펫

 

네이버 지식스니펫은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검색자가 찾고자 하는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글을 네이버 최상단에 노출시켜 줍니다.

 

스니펫(snippet)이란 용어가 생소해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재사용 가능한 소스 코드, 기계어, 텍스트의 작은 부분을 일컫는 프로그래밍 용어"라고 합니다. 

 

왜 지식스니펫이라고 부르는지 조금 의아한 부분이 있지만, 내용을 요약해서 작은 부분만 표시하기 때문에 지식스니펫이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네이버와 비슷하게 구글에도 스니펫이라고 있습니다. 네이버처럼 최상단에 작성된 글을 올려주기 때문에 방문자 유입에 큰 효과가 있습니다.

 

 

지식스니펫에는 어떻게 올라갈까?

제가 작성한 글이 올라가긴 했지만, 어떻게 올라간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네이버에서는 "AI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명기하고 있습니다. AI 알고리즘에 의해 검색자가 검색한 키워드의 검색 결과에 가장 근접한 포스팅 내용을 올려 주는 것 같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명확하게 하는 글이 잘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코끼리를 넣은 방법으로 누군가가 검색을 한다고 가정하면,

냉장고에 코끼리를 넣는 방법<H2로 명기>

1. 냉장고 문을 연다.
2. 코끼리를 넣는다 
3. 냉장고 문을 닫는다. 

단, 냉장고의 크기가 코끼리의 사이즈보다 커야 하고 코끼리를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 애 노동력이 있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두괄식으로 작성해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느낌으로는 글의 내용이 너무 장황하게 길지 않고 검색한 내용이 잘 요약되어 있는 포스팅이 올라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마무리

지식 스니펫에 올라 가게 되면 방문자 수는 많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글자체가 간단 요약되는 형식으로 정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 클릭까지는 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인이 원하는 답만 보고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체류시간도 조금 떨어지지 않나 생각합니다. 

 

스니펫에 올라가 내용뿐 아니라 방문자가 또 궁금해 할 것 같은 내용을 추가적으로 작성해서 이탈율을 낮춰야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